- 에스델의 마음이 행복한 오늘
- RURBANlife
- 지후대디의 Favorite
- 화영의 인생교향곡
- Never Say Never
- 워크뷰의 맛있는 도보여행
- 봉리브르
- 핑구야 날자의 IT와 일상
- IT로 보는 세상
- hCard 1.0.1 XMDP profile
- | Life is, Travel | enjoiyou…
- 잉여토기의 블로그
- 응답할래? 2016
- 랄랄라 라오니스
- SoulSky의 캐나다 생활일기
- 귀여운걸의 리뷰스토리
- childc
- 천추의 IT 이야기
- 사진과 여유
- 위드코딩 withcoding.com #####
- Soft Latte
- 사진은 권력이다
- 팔만대잡담
- 페르소나 persona
- 달리는 프로그래머
- Hood Rabbit의 맥(Mac) 갤러리
- 공상제작소
- ★ Another Side & Story
- :: Back to the Mac 블로그
- 제이펍의 참 똑똑한 2비트 책 이야기
- Programmer J
- linuxism
- kkamagui의 작업실
- SBH[ Programmer & Hacker ] Lab…
- Keep the Faith
목록주식 (6)
빌노트의 노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4O4hS/btriJo901FF/pdcNqSSJFCFEIvQlbmgEV1/img.jpg)
주린이+코알못도 파이썬으로 쉽게 따라 하는 퀀트투자 레시피 미국 주식으로 시작하는 슬기로운 퀀트투자 주식을 좀 더 편안하게 하기 위해 책을 한 권 봤습니다. ‘미국 주식으로 시작하는 슬기로운 퀀트투자’라는 책인데 최근에 봤던 퀀트 투자 책 중에는 가장 쉽고 편안하게 읽혔던 책인 것 같습니다. 책 표지에 있는 문구처럼 정말 주린이(주식 어린이), 코알못(코딩을 알지 못해도)도 읽을 수 있을 만큼 쉽게 쓰인 책입니다. 보통 파이썬으로 코딩을 하기 위해서는 파이썬을 설치하고 필요한 라이브러리, 플랫폼(주피터랩, 핀터스텔라) 등을 설치하는데 이 책에서는 구글 코랩(Google Colab)을 사용해서 별도로 설치 없이 웹상에서 코딩을 할 수 있습니다. 사용해보니 정말 편하네요. 퀀트 투자 말고도 간단한 코딩을 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GiKsZ/btqG9BqZrl3/n8XA3niFpPgsQLTKXYw1p0/img.jpg)
요즘은 파이썬(Python)의 인기가 아주 높습니다. 파이썬으로는 못하는 것이 없지요. 머신러닝, 인공지능(AI) 등 핫한 기술은 거의 모두 파이썬으로 통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들을 증권 데이터 분석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데 파이썬에서는 필요한 기능을 라이버러리 형식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아무리 파이썬이 배우기 쉽고 사용하기 편한 프로그래밍 언어라고 해도 이걸로 증권 데이터를 분석하는 일은 간단하지 않습니다. 이런저런 라이브러리를 사용해보며 시행착오를 겪어야 하는데 이러한 수고를 덜 수 있는 책이 이 '파이썬 증권 데이터 분석'입니다. '파이썬 증권 데이터 분석' 책을 읽기 위해서는 프로그래밍을 좀 알아야하고, 증권(주식) 매매에 관심이 많아야 합니다. 프로그래밍, 주식 둘 중 하나라도 관심이 없다면..
심심해서 집에 있는 알파헌터 이상헌의 매크로 스윙 트레이딩라는 책을 한번 더 봤습니다.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시작한 2008년 미국금융위기를 참 잘 설명한 책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 책을 읽고 나서 저는 어설프게나마 주식시장 흐름을 분석하는 일을 그만두게 되었습니다. 전문가는 따로 있구나 생각했던 것이죠. 알파헌터 이상헌의 매크로 스윙 트레이딩 이 책을 통해 금융위기가 발생한 원인을 짚어보는 것도 의미가 있었지만, 200일 이동평균을 이용하여 인덱스를 사고 파는 투자법이 흥미로웠습니다. 비록 재미는 없겠지만 시황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배제하고 차트가 보여주는 신호로만 투자하는 방식이 어쩌면 더 현명할지도 모르겠습니다. 예전 블로그에서 알파헌터님의 글을 보고 참 시황분석을 잘한다 생각을 했었는데 이제..
롱숏전략으로 운영되는 롱쇼트펀드(Long Short Fund)에 대한 생각 요즘 펀드의 종류가 많이 다양해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오늘 펀드를 좀 보다가 롱쇼트펀드라는 말이 보이더군요. 롱쇼트라 파생상품 투자할 때 자주 사용하는 용어인데... 궁금해서 펀드를 어떻게 운영하는지 살펴봤습니다. 롱(long)은 매수를 하는 것이고, 쇼트(short)는 매도를 하는 것인데, 롱쇼트펀드는 적극적인 투자방법으로 주가가 저평가되어 오를 것이라고 판단되면 매수를 하고, 주가가 고평가되어 앞으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이 되면 주식을 미리 빌려서 매도(공매도)를 하는 펀드를 말합니다. (펀드가 너무 다양해서 조금 다른 방식으로 운영되는 펀드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꼭 헤지펀드(Hedge Fund)를 보는 것 같네요. 일반적..
주식과 펀드의 라이벌 ETF(상장지수펀드)를 아시나요? (ETF장단점과 투자법 - KODEX200, KODEX레버리지, KODEX인버스, TIGER200) ETF(상장지수펀드, Exchange Traded Fund)란? 직접 기업에 주식투자 할 수도 있지만, 보통 일반인들은 투자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기 때문에 간접적으로 펀드매너저가 운영하는 펀드에 가입을 해서 투자합니다. 이런 펀드들 중에 ETF(상장지수펀드)라는 것이 있습니다. 이것을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인덱스펀드(지수연동형펀드)인데 상장이 되어 있어서 증권거래소(코스피, 코스닥)에서 사고 팔 수 있는 펀드라고 할 수 있습니다. 보통 인덱스펀드의 매수는 통장에 이체를 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매도(환매)는 따로 신청을 해야 합니다. 방법도 복잡하지..
인덱스펀드(Index Fund)는 무엇이고 어떠한 방법으로 투자를 해야 하는가? (인덱스펀드를 주식과 다른 펀드보다 추천하는 이유) 저는 주식보다는 펀드를 좋아합니다. 그 펀드 중에서도 인덱스펀드(Index Fund)를 특히나 편애하죠. 그래서 저도 장기투자 목적으로 인덱스펀드에 자동이체를 계속하고 있습니다. 그럼 이번에는 펀드의 백미인 인덱스펀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인덱스펀드라는 말은 많이 들어봤죠? 이미 많은 분들이 알고 계실 겁니다.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인덱스 펀드(Index fund, Index tracker)는 우리나라 종합주가지수인 코스피(KOSPI)지수와 연동되게 만들어진 펀드입니다. 그럼 인덱스펀드를 어떻게 투자해야하는지 조금 더 깊이 알아보도록 하죠. 주식 VS 펀드 주식과 펀드의 ..